안전한 의료기기 사용

  • 홈으로 이동
  • 안전한 의료기기
  • 환자안전성정보
  • 안전한 의료기기 사용

 

 

복막투석장치 (Peritoneal Dialysis System) 안전정보

 

○ 본 안전성정보지는 성인병(당뇨, 고혈압 등)에 따른 합병증 중 하나인 만성 콩팥(신장) 질환자의 복막투석장치 사용 관련 주의사항, 발생 가능한 부작용 등 안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 본 정보지는 만성 콩팥 질환자의 투석치료 방법 중 복막투석에 국한하여 제작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복막투석이란?

 

정상적인 콩팥은 몸 안에 쌓인 노폐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콩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만성 콩팥 질환자는 복막투석이라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몸 안에 쌓인 노폐물과 수분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야 하며, 복막투석장치는 이러한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주는 의료기기입니다.

 

※ 복막투석의 원리

    복막투석은 확산과 삼투압의 원리를 이용하여 복강(뱃속) 안으로 투석액을 주입하고 복막을 통해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복막투석 비교
 

자동복막투석(자동식)

(APD :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지속성외래복막투석(수동식)

(CAPD: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투석방법

특징

  • 자동복막투석 기계에 프로그램을 입력해 두면, 잠자는 동안에 투석이 이루어짐
  • 잠자는 동안 기계를 통해 자동으로 3~5회 정도 투석액이 복강으로부터 배액과 주입이 이루어짐(투석양 : 8~12리터)
  • 다음날 아침 투석액이 복강에 주입되어 있는 상태로 출근하여 생활하게 됨 (직장인, 학생에게 편리한 방법임)
  • 수동식에 비해 약간의 비용이 더 들 수 있음
  • 별도의 기계장치 없이 환자나 보호자의 손으로 직접 투석액을 교체하는 방법임
  • 하루 4회(아침, 점심, 저녁, 잠자기 전) 취침시간을 제외한 시간에 투석을 하게 됨(투석양 : 1.5~2리터) (잠자는 동안에는 투석에서 자유롭지만, 하루에 4번 투석을 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수 있음
  • 투석액은 한 번 주입하면 대체고 5~8시간 동안 복강 안에 지니고 있게 됨
    • 개인의 체구 및 의학적 상태에 따라 투석액의 양, 교환 횟수 및 주기 등은 달라질 수 있음
제품 형태
※ 두가지 투석법 모두 병원이 아닌 집에서 사용자 스스로 하는 투석법입니다.  
자동복막투석(자동식) - 투석방법 및 특징 :
  • 자동복막투석 기계에 프로그램을 입력해 두면, 잠자는 동안에 투석이 이루어짐
  • 잠자는 동안 기계를 통해 자동으로 3~5회 정도 투석액이 복강으로부터 배액과 주입이 이루어짐(투석양 : 8~12리터)
  • 다음날 아침 투석액이 복강에 주입되어 있는 상태로 출근하여 생활하게 됨 (직장인, 학생에게 편리한 방법임)
  • 수동식에 비해 약간의 비용이 더 들 수 있음
자동복막투석(자동식) - 제품 형태 :
잠자는동안 투석하는 이미지
 
지속성외래복막투석(수동식)- 투석방법 및 특징 ;
 
  • 별도의 기계장치 없이 환자나 보호자의 손으로 직접 투석액을 교체하는 방법임
  • 하루 4회(아침, 점심, 저녁, 잠자기 전) 취침시간을 제외한 시간에 투석을 하게 됨(투석양 : 1.5~2리터) (잠자는 동안에는 투석에서 자유롭지만, 하루에 4번 투석을 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수 있음
  • 투석액은 한 번 주입하면 대체고 5~8시간 동안 복강 안에 지니고 있게 됨
    • 개인의 체구 및 의학적 상태에 따라 투석액의 양, 교환 횟수 및 주기 등은 달라질 수 있음
지속성외래복막투석(수동식)- 제품 형태 :
앉아서 투석액 교체하는 이미지

 

 

 

매일 체크 및 관리 (복강에 삽입된 도관의 출구부위 피부가 빨갓거나 부어오른 곳이 없어야 함))

 

눈으로 관찰하기

 

○ 복강에 삽입된 도관의 출구부위 피부가 빨갛거나 부어오른 곳은 없는지 체크합니다.

 

○ 도관 주변 피부에서 새어 나오는 분비물(진물)은 없는지 체크합니다.

 

○ 투석 시 복강에서 배액 되어 나오는 용액의 색이 혼탁하지는 않은지 체크합니다.

  - 배액 된 투석액의 색은 소변과 유사한 맑은 노란색이 정상입니다. 만일 배액 된 투석액이 혼탁하다면 복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손으로 만져보기

 

○ 배가 따뜻한지 손으로 만져봅니다.

 

○ 손으로 누르면 통증이 있는지 손으로 만져봅니다.

 

○ 배가 부드럽지 않고 딱딱하게 만져지는 느낌은 없는지 손으로 만져봅니다.

 

   ※ 위의 설명대로 매일 체크하며, 만일 이상 증상이 느껴지거나 발견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습니다.

 

 

 

피부 소독피부 소독 방법

 

 

   1. 도관이 삽입된 복부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원을 그려나가면서 소독합니다.

     - 반대 방향인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원을 그리면서 소독해서 안 됩니다. (감염초래 가능)

 

   2. 멸균된 소독 용품(예: 면봉 또는 거즈)은 한 번만 사용 후 버리며, 새 것을 이용하여 처음과 동일한 방법으로 약 2~3회 반복하여 소독합니다.

 

    ○ 위와 같은 방법으로 투석 시 마다 소독합니다.

 

    ○ 샤워, 수영 후 또는 분비물이 새어나와 도관 주위가 젖어있는 경우에도 소독합니다.

 

 

체크 및 기록

 

○ 투석 시 복막투석 수첩에 기록할 사항 : ① 주입양 / ② 배액양 / ③ 체중/ ④ 혈압

 

○ 특히 체중 및 혈압은 매일 같은 시간(투석 직전 또는 투석 직후)에 체크하여 기록합니다.

  - 병원 정기 외래검진 시 복막투석 수첩을 지참하여 의사의 확인을 받습니다.

  - 투석으로 인해 몸 안에서 체액이 너무 많이 빠져나가게 되면 체중감소 또는 저혈압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발생 가능한 부작용

 

○ 저혈압

 

○ 도관 폐색(막힘)

 

○ 복막액 누수

 

○ 투석용 도관 출구 감염

 

○ 복막염

- 복막염은 세균 감염에 의해 복강 및 복강 내 장기를 덮고 있는 얇은 막인 복막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세균이 복부의 도관을 통해 복강 안으로 침투되어 발생

 

도관의 출구부위 감염과 복막염의 차잇점
  도관의 출구부위 감염 복막염
감염 의심 증상 출구 주변에 분비물(진물)이 있음 복부 통증(경미 또는 심함)
출구 주위가 빨갛게 됨 열이 나거나 오한이 있음
출구 주위를 누르면 통증이 있음 등 배액된 투석액이 혼탁함 등
도관의 출구부위 감염 : 감염 의심 증상 - 출구 주변에 분비물(진물)이 있음, 출구 주위가 빨갛게 됨, 출구 주위를 누르면 통증이 있음 등
복막염 : 감염의심증상 - 복부 통증(경미 또는 심함), 열이 나거나 오한이 있음, 배액된 투석액이 혼탁함 등

 

 

 

 

투석 준비방법 및 순서(자동식&수동식)

 

손씻기, 마스크 하기

 

  ※ 다음 순서는 자동복막투석 및 지속성외래복막투석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며, 처음 복막투석장치술을 받은 후 복강에 투석액이 주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음날부터 시행하는 복막투석 방법입니다.

 

 1. 소독용품, 투석용 백(Bag), 투석 기계(자동복막투석의 경우) 등을 준비합니다. 

 

 2. 투석 시작 전에 반드시 마스크를 먼저 착용 후, 손 소독제 또는 비누로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 일단 손을 닦은 후에는 아무것도 만지지 말고 투석 준비를 합니다.

     만약 손을 닦은 후에 머리카락을 만지거나 휴대폰 등을 만졌다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다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세균감염 방지).

 

 3. 복부 도관의 출구부위 피부를 소독합니다.

 

 4. 복부 도관과 투석용 백 라인을 연결합니다.

 

 5. 자동복막투석의 경우는 투석 기계의 전원을 켜고 기계를 작동하여 뱃속에 보유하고 있던 투석액을 먼저 빼줍니다(배액).

 

 6. 지속성외래복막투석의 경우는 투석용 라인을 통해 이전 투석으로 뱃속에 주입했던 투석액을 먼저 빼줍니다

 

 7. 배액이 끝나면 새로운 투석용 백의 투석액을 주입합니다.

 

 8. 투석액의 주입이 끝나면 투석 기계의 전원을 끄고(자동식의 경우) 투석용 백과 투석 도관을 분리합니다.

 

 9. 마지막으로 도관 출구부위 피부를 소독합니다.

 

 10. 마스크를 벗고 손을 씻습니다.

 

 

 

 

 투석 시 주의사항

 

투석 도관

 

○ 깨끗하고 환기가 잘 되는 환경에서 투석합니다.

- 가능하다면 가정에서 빈 방을 마련하여 투석을 위한 방으로만 사용합니다.

 

○ 차 안이나 야외,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는 사무실, 화장실에서는 투석하지 않습니다.

- 감염으로 복막염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 투석 시작 전에 투석용 백 안의 이물질 유무, 새는 곳은 없는지 등을 확인하고 사용합니다.

- 침전물이 있거나 백 안 용액이 혼탁해 보이는 등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는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투석 시작 전에 복부의 도관 출구 부위를 당겨 도관이 꼬여있지 않도록 합니다.

- 도관이 꼬일 경우 투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간단한 샤워만 가능하며 목욕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합니다 (감염발생 우려).

- 샤워 시 테이프와 비닐 등을 이용하여 출구 부위에 물이 들어가지 않게 잘 감싸고, 샤워가 끝나는 즉시 출구 부위를 소독합니다.

 

  

※ 참고자료

(1)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06. Peritoneal Dialysis: what you need to know.

(2) 네이버 지식백과. 2017.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복막투석.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662&cid=51004&categoryId=51004>

 

 

 

 복막투석장치 사용 관련 궁금해요

 

Q1. 복막투석 전에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을 씻어야 하나요?

A1. 네 그렇습니다. 입과 코에 상주하는 균들이 복강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고, 손에 있는 균에 의해 초래되는 감염을 막기 위함입니다.

    - 이를 지키지 않아 감염이 발생하면 복막염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Q2. 평상시와 다르게 투석 도중에 열이 나고, 배가 아프며 배액 되는 투석액의 색이 뿌옇게 보입니다. 왜 이런 걸까요?

A2. 이와 같은 증상은 복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투석을 중단하고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Q3. 자동복막투석의 경우, 투석 도중 화장실에 갈 수 있나요?

A3. 네 가능합니다. 투석을 일시 정지하고 화장실에 다녀올 수 있습니다.

 

Q4. 복막투석용액은 어떤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나요?

A4. 복막투석용액은 포도당과 여러 가지 전해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투석액에 존재하는 고농도의 포도당은 복강 내 삼투압을 높여 체내 수분을 투석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Q5. 병원에는 얼마나 자주 가야 할까요?

A5. 일반적으로 한 달에 한 번 정기적으로 외래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고, 투석액과 약물 처방을 받습니다

 

 

 

 

적극적인 의료기기 부작용 신고가

대한민국의 안전한 의료기기

문화를 만듭니다.

 

 

 

 

부작용 신고방법

 

의료기기 사용과 관련하여 인터넷, 우편, 전화 등을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고해 주세요. 

 

인터넷 신고 : 식약처 '의료기기전자민원창구 사이트'(http://emed.mfds.go.kr - 보고마당 - 이상사례 보고)에 접속하여 신고

 

우편 : 보고서식(식약처 '의료기기전자민원 사이트'(http://emed.mfds.go.kr - 업무안내- 안전성정보관리)에 접속하여 의료기기 이상사례 보고서 서식 다운로드) 

 

주소( (우)28159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2로 187,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안전평가과/팩스 043-719-5000. (우)08389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30길 28, 마리오타워 208호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안전평가팀/팩스 02-860-4419)

 

전화 :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안전평가과(043-719-5007, 5015),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안전평가팀(02-860-4440~4443, 4447)

 

&nbsp; &nbsp; 복막투석장치 (Peritoneal Dialysis System) 안전정보 &nbsp; ○ 본 안전성정보지는 성인병(당뇨, ...